ART & CULTURE

Current & Upcoming

Current and upcoming events

Exhibition
김용익 개인전 《아련하고 희미한 유토피아》Past
  • Dates2024.03.15 ~ 2024.04.21
  • Place국제갤러리 부산점
  • Time10:00 - 18:00 (매주 월요일 휴관)(3/15 2pm open)
  • Organizer국제갤러리
  • Ticket price무료
  • Contact info051-758-2239
  • Website Go >
  • Overview
  • Gallery


 

“유토피아는 모더니즘 프로젝트의 꿈이었다. 계몽주의로 각성된 인간의 이성이 자연과 인간, 그리고 이 세계를 탐구하여 새로운 사실들을 발견하고, 이를 통하여 과학과 기술의 발전과 진보가 인류를 유토피아로 인도할 것이라는 꿈. 이것이 바로 모더니즘 프로젝트이다. 모더니즘 프로젝트의 일부는 실현되었지만 그것이 제공하는 달콤한 열매는 인류 모두에게 골고루 돌아가지 않았고, 개인과 개인, 국가와 국가 간의 계급의 격차와 제국주의, 제 살 깎아먹기 식의 카니발리즘적 자본주의, 자연의 훼손이라는 재앙적 결과를 초래했다. 우리는 지금 이 어두운 그림자를 목도하고 있다. 끊임없는 전쟁과 테러, 그리고 기후 위기는 모더니즘 프로젝트의 실패를 예증하고 있는 것이다.

나는 한국전쟁 이후 현대를 살아오면서 어릴 때는 상상도 못했던 의식주의 풍요함을 누리며 살고 있다. 모더니즘 프로젝트가 제공하는 달콤한 열매에 중독되어 있는 것이다. 휴대폰과 컴퓨터와 자가용 없이는 살 수 없는 삶을 살고 있다.
유토피아는 모더니즘 프로젝트의 꿈을 의미한다. 그것이 아련하게 느껴지는 것은 그 꿈에 대한 미련이 남아있음을 뜻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제 그 미련을 더 이상 유지할 수 없을 만큼 그 꿈이 희미해지고 있음을 내포한다.” – 김용익

이념이나 진영 논리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던 모더니즘 프로젝트의 가능성 혹은 불가능성에 대한 논의는 최근 들어 인류 생존의 위협과도 직결된 만큼 꾸준하게 진행되어 왔다. 이에 각 분야의 수많은 전문가들이 적극적으로 대응책을 모색해온 것도 사실이다. 그렇다면 예술이 이에 대응하는 방식이란 과연 무엇일까? 만약 그런 것이 존재한다면 어떤 성격이나 태도여야 할까? 미술이 취할 수 있는 그 태도라는 것이 당연하게도 즉각성 혹은 적극성과는 거리가 멀겠지만, 그럼에도 현실을 직시하고, 끊임없이 성찰하고, 충실하게 증거하는 일이 그에 주어진 본연의 역할이 아닐까? 김용익의 평생에 걸친 작업은 이 같은 미술의 본질에 대한 질문과 고뇌에서 시작한다. 이러한 질문과 고뇌가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일련의 작업과정에서 절망을 맛보기도, 작은 희망의 징후를 발견하기도 하는 그는 동시에 그 둘 사이의 긴장감이 자신의 작업을 지속시켜주는 힘의 원천이라 여기기도 한다.

국제갤러리는 오는 2024년 3월 15일부터 4월 21일까지 김용익의 개인전 《아련하고 희미한 유토피아》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국제갤러리에서 2018년 이후 6년 만에 열리는 작가의 세 번째 개인전으로, 부산점과 서울 한옥 공간에서 동시에 선보인다. 2016년부터 최근까지의 근작 46점(부산점 19점, 서울점 한옥 27점)을 다루는 이번 전시는 작가가 최근 천착하는 ‘물감 소진 프로젝트’를 전시를 통해 본격적으로 소개하는 장이자, ‘땡땡이 화가’로 알려진 그의 작업이 전환을 맞이하게 된 여정을 함께 목도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작가 소개

김용익은 1947년 서울에서 태어나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99년 대안공간 풀의 창립에 참여하고 2004년부터 2006년까지 대표를 역임하였으며, 1991년부터 2012년까지 경원대학교 회화과 교수로 재직하며 미술교육자로 오랜 기간 활동했다. 주요 개인전으로는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 《라스트 제너레이션에게, 김용익》(2023), 뉴욕 티나킴갤러리 《후천개벽을 말하다》(2019), 베를린 바바라 빈 갤러리 《이것은 답이 아니다》(2019), 국제갤러리 《엔드리스 드로잉》(2018), 일민미술관 《가까이... 더 가까이...》(2016) 등이 있으며, 제5회 요코하마 트리엔날레(2014), 서울시립미술관 《SeMA 중간허리 2012: 히든 트랙》(2012), 금강자연미술비엔날레(2010), 경기도미술관 《1970-80년대 한국의 역사적 개념미술: 팔방미인》(2010), 부산시립미술관 《그리드를 넘어서》(2002) 등 국내외 주요 단체전과 비엔날레에 참여했다. 경기도미술관, 금호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대전시립미술관, 부산시립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일민미술관, 도쿄도 미술관, 홍콩 M+, 미국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LACMA), 로스앤젤레스 현대미술관(MOCA) 등 다수의 주요 기관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Utopia was the Modernist dream. The dream that human reason, used and celebrated by the Enlightenment, will question nature, humanity, and the universe to establish new truths, and the development and progr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will lead us to utopia-that, ultimately, is the Modernist project. The project was partly realized, but its fruits were not evenly distributed, bearing catastrophic results such as class inequality among individuals and nations, imperialism, cannibal capitalism, and the destruction of nature. We are currently reckoning with this dark shadow. The endless war, terrorism, and climate crisis are a testament to the Modernist project's failure.

Living through the age after the Korean War, I have been surrounded by material affluence unimaginable to me as a child. I am addicted to the sweet fruits of the Modernist project. I cannot live without my phone, computer, and car.

Utopia means the dream of the Modernist project. Feeling it as distant shows the lingering aspiration for this dream; nonetheless, it also connotes that I am no longer able to hold on to this aspiration as the dream is fading away.

- Kim Yong-Ik

 

The dispute surrounding the possibility or impossibility of the Modernist project-closely linked to ideology or partisan logic-has been continuously debated but today is growing more intense because of the ecological threats posed to humanity. While experts from numerous disciplines have actively laid out strategies and solutions, the same questions remain: what are the ways in which art responds to the matter at hand? If a solution exists, what would its characteristic traits or qualities be? Despite the position of art as far from direct or activistic, should its role not be to confront, constantly reflect on, and faithfully attest to reality? Kim Yong-Ik's lifelong practice is rooted in these questions and deliberation on the essence of art. In his work process, Kim repeatedly dwells on this search, balancing bitter despair and small glimmers of hope, and embracing the tension between the two as the source of vigor that sustains his work.

 

Kukje Gallery is pleased to present Distant and Faraway Utopia from March 15 to April 21, 2024. His first exhibition in six years at Kukje Gallery, Kim's third solo exhibition will be held simultaneously in both the gallery's Busan and Seoul Hanok spaces. Showcasing 46 recent works dating from 2016 (19 works in Busan and 27 works in the Hanok), this marks a major public presentation of the artist's recent Exhausting Project series, which allows us to trace together the trajectory and transition of the established "polka-dot painter."

 

About the Artist

Kim Yong-lk was born in Seoul, Korea, in 1947, and received his B.F.A. and M.F.A. in Painting from Hongik University. He co-founded the Alternative Space Pool in 1999 and served as its representative from 2004 to

2006. From 1991 to 2012, he worked as a professor in the painting department at Kyungwon University, engaging in art education for many years. Kim's major solo exhibitions include To the Last Generation, Kim Yong-Ik (Art Archives, Seoul Museum of Art, Seoul, 2023); Speaking of Latter Genesis (Tina Kim Gallery, New York,

2019); This is not the answer (Barbara Wien Galerie, Berlin, 2019); Endless Drawing (Kukje Gallery, Seoul, 2018); and Closer...Come Closer... (Ilmin Museum of Art, Seoul, 2016). He has also participated in numer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group exhibitions and biennales, including the 5th Yokohama Triennale (Japan, 2014); SeMA Gold 2012: Hidden Track (Seoul Museum of Art, 2012); the Geumgang Nature Art Biennale (Korea, 2010); Jack-of-all-trades: Korean Historical Conceptual Art 1970-80s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2010); and After the Grid (Busan Museum of Art, 2002), among others. His works are included in the collections of the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Kumho Museum of Art,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MMCA), Daejeon Museum of Art, Busan Museum of Art, Seoul Museum of Art (SeMA), Ilmin Museum of Art, Tokyo Metropolitan Art Museum, M+ Hong Kong,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LACMA), Los Angeles Museum of Contemporary Art (MOCA), and many others.